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경제

귀농 지원금 제도 (지원자격,조건,신청절차)

by emily! 2025. 10. 14.

2025년 귀농 지원금 제도 총정리

도시에서 농촌으로 돌아오는 분들을 위한 정부 및 지자체 지원제도 안내

1️⃣ 귀농 지원 제도 개요

귀농은 도시민이 농촌 지역으로 전입하여 농업 활동에 종사하고 정착하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자금 지원, 주택 개량, 교육, 정착금 등을 통해 초기 부담을 줄여줍니다.

  • 운영 기관: 농림축산식품부, 각 지방자치단체, 농업기술센터
  • 지원 형태: 창업자금, 주택자금, 정착금, 생활비, 교육 및 컨설팅 등

2️⃣ 주요 지원 제도

지원 항목 주요 내용 조건 / 비고
농업창업자금 융자 농지 구입, 비닐하우스·축사 등 시설 설치 세대당 최대 3억 원 / 저리 융자
주택 구입·신축·개량 농촌 주택 구입 또는 개량 자금 지원 최대 7,500만 원 이내 융자 가능
정착 지원금 초기 생활 안정비 / 지역 정착 장려금 지자체별 최대 100만 원 지급 사례
청년농 영농정착 지원금 초기 영농활동 지원 (월별 생활비 형태) 월 80~110만 원 지급 (최대 3년)
귀농 교육 / 멘토링 기초 영농 기술, 창업교육, 현장 실습 일정 시간 이수 시 자격요건 충족

※ 세부 금액과 조건은 각 지역 공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지원 자격 및 조건

  • 거주 요건 — 도시에서 농촌으로 전입 후 일정 기간(예: 5년 이내) 이주자
  • 교육 요건 — 귀농 교육 8시간 이상 이수 필수
  • 연령 기준 — 만 65세 이하 지원 가능 (청년농은 40세 미만)
  • 세대주 요건 — 본인 명의로 세대 구성 또는 세대원 신청 가능
  • 농업경영체 등록 — 농업인 등록이 필요하거나, 사업 선정 후 일정 기간 내 등록

4️⃣ 지원금 예시

지자체 / 기관 지원 항목 내용
경기도 농업창업자금 최대 3억 원 / 금리 2.0% / 5년 거치 10년 상환
익산시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자금 농업창업 3억, 주택자금 7,500만 원 한도
임실군 정착 지원금 귀농인 실제 거주 시 100만 원 일시 지급

5️⃣ 신청 절차

  1. 공고 확인 — 농림축산식품부, 귀농귀촌종합센터, 지자체 홈페이지 등
  2. 귀농 교육 이수 — 실습농장, 교육센터 등에서 지정 교육 수강
  3. 서류 제출 — 주민등록등본, 사업계획서, 농업경영체 등록증 등
  4. 심사 및 선정 — 사업계획·정착 의지 등을 평가하여 선정
  5. 대출·보조 실행 — 자금 지급 후 관리 및 점검 실시

6️⃣ 참고 사이트

© 2025 귀농 지원금 종합 가이드 — 실제 금액 및 요건은 각 지자체 공고를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