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경제

고향사랑기부제 총정리 (혜택,신청절차)

by emily! 2025. 10. 10.

고향사랑기부제 안내

개인주민등록상 주소지 외의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면, 지자체는 주민복리 사업에 사용하고, 기부자는 세액공제답례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3.1.1. 시행

고향사랑e음 바로가기 행정안전부 안내

1) 누가, 어디에 기부하나요?

기부 가능한 사람

  • 개인만 가능 (법인·단체 불가)
  • 연령 제한 없음 (미성년자는 법정대리인 동의 필요할 수 있음)

기부 가능한 지자체

  • 주민등록지(현 주소지) 외 전국 지자체 (광역·기초 모두 가능)
  • 태어난 곳/출신지가 아니어도 가능

2) 기부 한도와 답례품

항목 내용
연간 기부 한도 2,000만 원 (여러 지자체에 나눠 기부 가능, 합산 적용)
답례품 기부금의 30% 이내에서 지자체가 지정한 특산품·상품권·체험권 등 제공
중복 수령 여러 지자체에 나눠 기부 시, 각 지자체 답례품을 각각 받을 수 있음(각 지자체 기준 범위 내)

3) 세액공제 혜택

  • 10만 원까지 100% 세액공제 (전액 돌려받는 구조)
  • 10만 원 초과분은 16.5% 세액공제 (일부 특별재난지역 기부는 초과분 33% 적용 가능 — 지정 시기에 따름)
계산 예시
· 10만 원 기부 → 세액공제 10만 원 + 답례품 최대 3만 원 상당
· 30만 원 기부 → 10만 원(100%) + 20만 원×16.5% = 13만 3천 원 공제 + 답례품 최대 9만 원 상당
· 100만 원 기부 → 10만 원 + 90만 원×16.5% = 24만 8천 5백 원 공제 + 답례품 최대 30만 원 상당
※ 실제 환급액은 개인별 결정세액·다른 공제 적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신청 절차

  1. 회원가입/본인인증고향사랑e음 접속
  2. 지자체·답례품 선택 — 기부금액 입력
  3. 결제 — 카드/계좌이체 등
  4. 기부영수증 발급 — 연말정산(근로자)·종합소득세 신고(사업자) 때 세액공제 입력

오프라인 기부: 전국 농협 창구에서도 접수 가능(지자체·신분증 지참).

5) 자주 묻는 질문(FAQ)

Q1. 주민등록지와 같은 지자체에 기부할 수 있나요?

안 됩니다. 주소지 외 지자체에만 기부할 수 있습니다.

Q2. 법인이나 모임 이름으로 기부 가능한가요?

아니요. 개인만 가능합니다.

Q3. 답례품은 언제 오나요?

지자체·답례품 유형별로 발송 시점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결제 후 수일~수주 내 발송됩니다.

Q4. 세액공제는 어떻게 받나요?

고향사랑e음에서 발급되는 기부금 영수증을 연말정산(근로자)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반영합니다.

Q5. 특별재난지역 기부 33% 공제는 항상 되나요?

아니요. 지정된 기간·지역에 한해 적용됩니다. 고시 내용을 확인하세요.

6) 왜 할까? — 체감 혜택 요약

포인트 효과
세액공제 최소 10만 원까지 100% 환급 효과 + 초과분 16.5% 환급
답례품 기부액의 최대 30% 상당 지역특산품/상품권/체험권 수령
지역기여 선호 지역·관심 분야(아동·청년·복지·문화 등) 사업에 재원 투입

※ 본 안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요약입니다. 세부 요건·적용 비율·특별재난지역 지정 등은 관련 법령·고시와 고향사랑e음 공지를 확인하세요.

#고향사랑기부제 #고향사랑e음 #세액공제 #답례품